반려견 지도사, 훈련사가 말하는 개의 욕구
안녕하세요 제제파파입니다
오늘 할 포스팅은 훈련의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인 개의 욕구에 관련된 이야기입니다
굳이 왜 욕구에 대한 글을 포스팅할까 하고 의아해하실 수도 있는데요
이는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
개의 욕구가 필요한 이유
이전에 한 포스팅 중에 훈련에 필요한 가장 큰 요소는 보호자의 관찰이라고 설명드렸었죠?
그다음으로 필요한 요소가 바로 이 반려견의 욕구입니다
제가 맡았던 개 한 마리를 예로 들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
저먼 셰퍼드 한 마리가 장기 호텔을 온 적이 있어 기본적인 교육을 해보고자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
어린 친구는 아니었지만 먹이에 대한 욕구, 장난감에 대한 욕구가 아예 없었고, 사람에 대한 기대감이나 의욕이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
1주일 만에 면회를 온 보호자의 곁에서도 바닥 냄새만 맡을 뿐 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
이처럼 욕구가 없는 반려견은 교육 자체가 굉장히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
보상이라는 개념을 심어주어야 반려견에 행동을 끌어낼 수 있는데 애초에 '무언가를 가지고 싶다'는 욕구가 없는 친구들은 훈련 자체에 재미를 느낄 수가 없습니다
간혹 이런 친구들이 훈련을 오면 교육 시간을 늘리거나 장기적으로 진행 해 어느 정도 보상에 대한 개념을 끌어올려주어야 합니다
이렇게 개의 욕구는 곧 보상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훈련의 기본적인 요소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
욕구에 따른 단계별 훈련
그럼 지금부터는 개들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훈련 방법들을 하나씩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
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가정집의 반려견들은 욕구 또한 평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
큰 무리 없이 교육이 진행될 수 있고 보상이라는 개념 또한 쉽게 인식시킬 수 있습니다
문제는 이 친구들과 다르게 유전적으로 욕구가 매우 크고 넘치는 개들이 있습니다
목양견이나 사역견 같은 친구들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
이 친구들은 퍼피 트레이닝을 통해 보호자가 직접 욕구를 조절시켜 줄 수 있어야 합니다
성견이 되어서도 가능하긴 하지만 교육에 소모되는 시간이나 노력이 2배, 3배로 커질 수 있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
사실 이 친구들의 욕구를 보호자가 조절해줄 수 있다면 훈련의 성과가 보통 반려견들과 다르게 어마어마한 효과로 나타납니다
그래서 훈련사들은 일부러 개들의 욕구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려 많은 노력을 합니다
이런 친구들은 욕구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해도 되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구분시켜 주면 어느 정도 조절이 되기 시작합니다
그 후에는 여러 형태의 훈련이나 교육을 함으로써 보호자의 친밀도를 쌓으면 됩니다
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보호자가 리더의 위치에 서게 되고, 이후에는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다양한 훈련에서 큰 효과를 나타나게 합니다
마지막으로 욕구가 없는 반려견들에 대한 교육은 무엇이 있는지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
사실 이 친구들의 교육이 가장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
다양한 방법들로 욕구를 끌어올릴 수 있겠지만 제 경험으로는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도 '친밀감'을 쌓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
보호자나 훈련사와 뛰어놀고, 스킨십도 하면서 자연스럽게 먹이를 받아먹게만 해준다면 절반은 성공입니다
이 같은 행동이 나오기 시작했다면 이를 교육에 들어가기 전에 하나의 준비 동작으로 보시면 됩니다
즉, 앉아 훈련을 진행하기 전에 자연스럽게 스킨십을 하면서 먹이를 먹게끔 해 주는 겁니다
이렇게 교육을 진행하게 되면 반려견의 집중도가 올라가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
반대로 순서를 뒤집어 강제적으로 훈련이나 교육에 임하게 한 뒤 보상의 개념을 심어 줄 수 있지만, 반려견과의 관계가 틀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추천드리고 싶지 않은 방법입니다
이렇게 해서 오늘은 반려견의 욕구, 그리고 그 욕구에 따른 훈련법을 간략히 설명해 보았습니다
이처럼 욕구라는 것은 문제 행동으로 나올 수 있지만, 잘 이용할 수 있다면 하나의 훈련 방법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
보호자분들도 위와 같이 집착이 심하거나, 욕구가 강한 아이들을 통제하면서 새로운 친밀감을 형성해 보시길 바랍니다
감사합니다
'반려견 > 상식,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려견 산책 예절 (0) | 2020.10.08 |
---|---|
반려견의 나이에 따른 욕구 (0) | 2020.10.07 |
반려견 지도사, 훈련사가 알려주는 서열과 리더 (0) | 2020.10.02 |
반려견 지도사, 훈련사가 말하는 반려견의 행복 (0) | 2020.09.30 |
반려견 지도사, 훈련사가 알려주는 보호자의 자세 (0) | 2020.09.29 |